본문 바로가기

읽어보자/배워보자

한국사 고려시대의 대외관계 알아보자!

반응형

고려 시대의 대외관계 알아보자. 나 공부하려고 정리한다.

 

대외관계 즉 누구랑 친하고 싸웠느냐 바로 여진, 거란, 몽골 이다.

십 세기, 10세기가 되면 통일 왕조들이 들어서게 된다.

고려, 송, 거란이 들어서게 된다. 12세기에 여진이 등장한다.

고려는 송나라와 친하게 지낸다. 거란과 여진족은 오랑캐라며 고려와 적대시하게 지낸다.

 이 때문에 거란족은 고려에 거란족은 3번에 걸쳐 침입하게 된다.

 

십 세기 거란이 1차 침입한 이유는 송의 배후세력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소손녕이 침입하고 서희가 화려한 입담으로 강동 6주 땅 까지 차지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서희의 외교담판이다. 서희 거란족~ 노래가사를 떠올려보자. 

이것으로 고려의 영토가 압록강까지 확장되었다.

 

2차 침입이다. 강조의 정변으로 혼란스러운 이때 거란족이 쳐들어오지만 왕규가 거란족을 격퇴한다. 개경은 함락된다. 3차 침입은 거란의 소배압은 강동 6주를 빼앗기 위해 침입했으나 강감찬 장군이 귀주성에서 물리친다, 바로 귀주대첩이다. 강감찬은 나성(개성), 천리장성을 축조를 하여 전쟁에 대비하였다.

 

12세기에는 여진족의 기마병들이 쳐들어온다. 12세기 이전에 여진족은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겼으나 여진의 통일로 세력을 키워 고려를 침략하기 시작한다. 윤관은 군대 별무반 (신기군-기마병,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병, 마귀를 무찌른다.)을 만들어 여진족을 물리치고, 동북 9성을 축조 한다. 이후 여진족은 다시 점점 힘을 키워 나라로 건국한 후 고려에게 군신관계를 요구한다. 금나라를 섬겨라 이 말이다. 고려는 이에 반대하였지만 문벌 귀족인 이자겸과 김부식은 몰래 가서 금나라와 사대 관계를 수용한다. 굴욕적이다. 그 결과 북진정책은 중단된다.

 

13세기에는 누가 침입하느냐 바로 거대한 몽고이다. 이때 고려의 집권세력은 무신들이 휘어잡고 있었다. 1차 침입은 몽고의 저고여가 고려에게 공물을 요구하였고 고려는 거절! 그 와중에 저고여의 피살사건을 빌미로 몽고가 침입을 하였다. 무신의 최고 권력인 최우는 강화도로 천도하였다.

 2차 침입이다. 김윤후가 몽고의 적장 살리타를 사살(처인성 전투)한다. 이때 망할 몽고는 초조대장경, 3차 때 황룡사 9층 목탑에 불을 질러 귀한 문화재가 소실된다.

5차 침입은 김윤후와 관노 들이 충주성 전투에서 활약한다.

6차 때 고려는 항복하며 개경 환도를 한다. 개경 환도를 반대하는 배중손이 이끄는 사병집단 삼별초의 항쟁 이 이루어지는데 강원도-진도-제주도로 걸쳐 끝까지 저항하지만 실패한다.  그 이후 몽고원나라로 성장하며 고려를 간섭하고 괴롭힌다. 바로 원의 내정 간섭 시기이다. 짧게 원 간섭기라고 하자.

 

이때 무신들의 정권이 무너지고, 원나라와 친해져 돈과 권력을 잡은 세력들, 권문세족이 성장하게 된다. 어딜 가나 이런 것들은 존재하나 보다. 원나라는 관제 격하 왕, 왕실 호칭을 낮춰 부르거나 원나라에 충성하라며 왕의 이름에 충을 붙여 부르도록 하였다, 이문소를 통해 정동행성을 설치, 다루가치를 감찰관으로 파견하여 고려를 간섭하였고, 쌍성총관부, 동녕부, 탐라총관부(제주)를  설치 해서 원나라 마음대로 영토 확장을 하였다. 원나라가 고려의 내정간섭을 하면서 싸질러놓은 것들은 추후 공민왕개혁 정치를 통해 다시 되돌려 놓으려고 노력하였다. 

 

고려의 대외무역개방적인 것이 특징이다. 송나라, 거란, 여진, 아라비아 상인들과 무역을 하였는데 무역을 하는 장소인 국제무역항벽란도였다. 통일신라의 국제 무역항 울산항과 다름을 기억하자.

고려와 송나라는 친한 친구관계였다. 고려는 송나라에게 군사, 정치적으로 도움을 주었고, 송나라는 고려에게 경제적, 문화적으로 도움을 주었다. 고려는 송나라와 제일 활발하게 무역을 하였는데 고려는 금, 인삼을 팔았고 송은 비단, 약재를 팔았다. 고려는 주로 상위 1% 귀족들의 사치품을 수입했다는 점 기억하자.

일본수은이나 황 을 팔았고 왜냐 일본은 화산지대라 유황이 많이 나온다는 거다,

 아라비아 상인은 향료를 팔았고 고려인삼을 팔았다.

여기까지 10번 읽어보자.

반응형